복지 정보

2025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총정리 – 누구나 누려야 할 작은 행복

복지꾼 2025. 7. 14. 09:36
반응형

경제적 불확실 속, 청년들의 삶은 여전히 팍팍하지만,
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으로 매년 최대 100만 원이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.
이 글에서는 대상자, 신청 시기, 지원 방식, 자주 묻는 질문까지 모든 걸 한 번에 다뤄드립니다.

 

2025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총정리

 

✅ 청년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요?

1. 제도 소개

  • 경기도가 24세 청년에게 시급한 한 끼, 면접비, 교통비 등 생활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 
  • 연간 최대 100만 원, 분기별 25만 원씩 4회 지급되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합니다.

2. 왜 필요한가요?

  • 취업준비, 주거비, 자립 비용 등으로 힘든 청년들에게 작지만 실질적인 지원
  • 지역화폐 지급을 통해 소비가 도시에 다시 순환되도록 설계됨

 

🎯 지원 대상 & 자격 조건

1. 연령 및 거주 요건

  • 만 24세 청년 (예: 2000년생 청년 대상)
  • 3년 이상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경기도에 거주한다면 소급 신청도 가능

2. 소득 요건

  • 별도 소득 기준이 없으며, 24세 경기도 주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* 단 성남시는 조례폐지, 고양시는 시비 미편성으로 2025년 청년 기본소득 사업을 중단하였기 때문에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 초본상 주소지가 성남시·고양시인 경우에는 청년기본소득 지급 불가

 

📅 신청 일정 및 방식

1. 2025년 신청 일정

  • 분기별 신청제로 운영되며, 2000년생의 경우 분기마다 신청 가능,
  • 2001년생 이후 청년은 1회 신청 후 일시 지급 방식

* 분기별 일정 예시

 

 

분기 신청 대상  생년신청 기간 지금일
1분기 ’00. 01. 02. ~ ’00. 12. 31. 3월 1일~3월 31일 4월 20일
2분기 ’00. 04. 02. ~ ’00. 12. 31. 5월 1일~5월 30일 6월 20일
3분기 ’00. 07. 02. ~ ’01. 07. 01. 7월 1일~7월 31일 9월 10일
4분기 ’00. 10. 02. ~ ’01. 10. 01. 10월 15일~11월 14일 12월 20일
 
  • 분기별 신청한 금액을 분할 지급합니다
  • 분기별 신청 첫날의 9:00부터 마지막날 18:00까지 신청가능
  • 2001년생 이후는 1회 신청 후 일시 지급하여 분기마다 반복하지 않아도 됩니다.

 

💳 지급 방식 및 사용 안내

1. 지역화폐로 지급

  • 지역화폐(모바일형) 로 지급되며,
  • 전통시장·소상공인 매장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가능.
  • 온라인 쇼핑몰, 대형마트는 사용 제한이 있으니 주의!

2. 사용 기한

  • 지급된 지역화폐 유효기간은 3년이며 기한내 미사용시 소멸됨(다만, 시흥·군포·과천: 5년)

 

📝 신청 방법 

1. 온라인 신청

  1. 경기도 일자리지원사업 통합접수시스템 접속
  2. 본인 인증 + 거주 정보 입력
  3. 신청서 작성 후 제출

 

 

2. 오프라인 신청

    • 거주 지역 행정복지센터 방문
    • 신분증 + 주민등록초본, 필요시 위임장 지참

3. 제출 서류

  • 주민등록초본(최근 발급본) 또는 마이데이터 활용 동의서
  • 기초생활 수급자 증명서(해당자)
  •  

🔍 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모든 24세 청년이 다 받을 수 있나요?

  • 기본적으로는 만 24세 경기도 거주자면 모두 지급
  • 다만, 타 지자체 청년기본소득 수급 중이라면 중복지원 불가합니다.

Q2. 신청 안 하면 자동으로 주나요?

  • 사전 신청이 필수입니다. 소급 신청이나 재신청이 불가능할 수 있으니 반드시 기간 내 신청하세요.

Q3. 신청을 놓쳤다면?

  • 분기별 신청에 따라 연 4회 기회가 주어지며,
  • 분기마다 신청하지 않으면 그 분기 지원은 자동 소멸됩니다. 소급 신청은 일부 지자체에서 허용하지만, 경기도 시·군별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.

 

🌟 신청 전 꼭 체크하세요

  1. 거주 기간 확인: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인지
  2. 분기 신청 일정 체크: 생년월일 기준 해당 분기 신청 여부
  3. 지역화폐 사용처 확인: 사용 가능 업소인지
  4. 사용 기한 확인: 지급 후 반드시 4개월 이내 사용

 

🧭 마무리

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청년에게 작은 경제적 숨통을 틔워주기 위한 정책입니다.
매년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받아 청년들의 소비, 건강한 자립을 돕는 든든한 발판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의 좋은 선순환 수단입니다.

📌 신청 시기 놓치지 마세요!

  • 2000년생은 분기별, 2001년 이후 출생자는 1회 신청
  • 지역화폐로 지급되므로 전통시장·소상공인 상점에서 착하게 사용하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