복지 정보
2025 부담경감크레딧 완벽 가이드 – 소상공인 필수 혜택!
복지꾼
2025. 7. 11. 09:34
반응형
물가 급등·고정비 부담에 힘든 소상공인에게 단비 같은 지원금이 도착했습니다.
2025년 부담경감크레딧, 최대 월 50만원, 총 5개월 지원, 소상공인 고정비 절감에 초점!
이 글에서 신청 대상, 지원 규모, 신청·지급 절차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✅ 부담경감크레딧이란? (전기·수도·가스 요금 지원)
- 소상공인을 위한 공공요금 부담 완화 크레딧
- 정부 추가경정예산(13.8조 원 중 4.3조)으로 지원 확정
- 전기·가스·수도와 같은 공공요금에 직접 차감되는 방식
👥 지원 대상은?
1. 일반 소상공인
2024년 혹은 2025년 연매출액 0원 초과 ~ 3억이하, 영업 중인 중소자영업자
2. 신규 창업자
2025년 1월 이후 창업자도 대상
단, 7월 1일~25일 부가세 신고 완료자부터 신청 가능
💵 지원 방식 및 금액
- 소상공인 1인당 크레딧 50만 원을 등록한 카드로 지급
- 공과금 및 4대 보험료에서 사용 가능
- 2025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크레딧은 국고로 회수됨
🗓️ 신청 기간
- 2025년 7월 14일(월) 오전 9시 ~ 11월 28일(금) 18시까지
- 신규 창업자는 8월 1일(금) 이후부터 신청 가능 (부가세 신고 기준)
📌 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
- 부담경감크레딧.kr 신청 홈페이지 접속
- 별도 서류 제출 없이 신청자 정보만 입력하면 됨 (상호명, 대표자명, 사업자번호, 사업장 주소지, 카드, 개인정보 등)
🗂️ 지급 방식 및 절차
- 신청 데이터와 공과금 납부 내역 확인
- 매월 지정 공공요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직접 결제 대체
- 매월 말경 자동 반영, 별도 서류 없이 지원 금액 산정
- 알림톡을 통해 지원대상 선정 안내
🚫 중복 지원 가능성
- 부담경감크레딧은 공공요금에만 적용
- 통신비·임대료 등 다른 지원과 중복해도 가능
- 단, 동일 공공요금에 대해 다른 정부 지원과는 중복 적용 불가 → 주의 요망
🌟 꼭 알아야 할 팁
- 7월 14일 오전 9시 신청 시간은 특히 중요! 접속 지연 예상
- 공공요금 영수증, 부가세 신고 내역 등 필요 서류 미리 준비
- 공과금 누락 없이 제출해야 지원금 전액 수령 가능
- 신규 창업자는 7월 25일까지 부가세 신고 완료 필수
📞 문의처
- 부담경감크레딧 콜센터: 1533-0600
- 공간 통합콜센터 1533-0100 (내선 2번)
- 부담경감크레딧.kr: 챗봇 24시간 운영, 체팅상담 가능
🧭 결론
2025 부담경감크레딧은
- 공공요금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춰주는 지원금
- 50만원 지원
- 소상공인·자영업자의 고정비 절감을 적극 돕는 현실적 정책
📌 지금 당장 7월 14일 오전 9시에 늦지말고 신청하세요!
반응형